연구실
|
연구분야
|
지도교수
|
---|---|---|
지능로봇비젼 연구실은 지능정보융합 시스템, 지능로봇비전, 딥러닝 (탐색, 분류 및 예측) 등 딥 뉴럴 네트 분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양방향 장단기메모리 기반의 다중 시계열 예측, 딥러닝 응용 하수관로 영상판별 분류 및 자동 판독의 과제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람 얼굴 연령대별 분류, 딥러닝에 의한 물체 탐색 및 영상 분할에 관한 심층 연구 과제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강 훈
|
|
차세대 소자 및 소재 연구실에서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는 분야는 신재생에너지와 관련된 압전 분야와 투명전극 분야입니다.
|
고중혁
|
|
전력전자 연구실은 전기자동차, 태양광/풍력/파력 등 신재생 에너지 시스템, 가전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력전자 회로 시스템 설계 및 제어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곽상신
|
|
차세대 반도체 소자 연구실에서는 고집적, 저전력 동작을 위한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소자에 대해 연구합니다. 초저전력 뉴로모픽 시스템 구현을 위해 시냅스 소자의 장단기 기억 능력, 확률적 스위칭 특성, 신뢰성을 확보하고, CMOS 뉴런 회로와 집적하는 연구과제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김민휘
|
|
마이크로파 및 안테나 연구실
|
마이크로파 및 안테나 연구실은 마이크로파 및 안테나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김정필
|
고성능시스템구조연구실은 컴퓨터구조, 고성능컴퓨팅, 내장형시스템설계, 사물인터넷 등 분야의 연구를 수행합니다.
|
김준성
|
|
플라즈마 응용 연구실에서는 Plasma Etching- Metal Etching- Oxide Etching- Si, Poly-Si Etching, High-K Dielectric Etching, Thin Films- High-K Dielectric Materials- Ferroelectrics Materials, MEMS(Micromachining), Semiconductor Sensor, Plasma Process Simulator Development, Plasma Process Equipment Development, Carbon Nano Tube(CNT)에 관한 내용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
김창일
|
|
차세대 나노 광전소자 연구실은 반도체 기반의 전자소자, 광전자소자, 양자소자를 연구합니다. 구체적으로 트랜지스터, 다중입력 멤리스터, 포토 디텍터, 광 뉴로모픽 소자를 제작하고 평가합니다. 또한, 빛의 원형 편광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카이랄 플라즈모닉 나노구조체와 valley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2차원 반도체 접합을 통해 새로운 기능형 융합소재 및 소자를 디자인하고, 평가하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
남궁석
|
|
본 연구실은 기계에너지-전기에너지 상호변환을 연구합니다. 구체적으로 전자기를 이용한 전기기기와 더불어 압전, 형상기억합금 등의 신소재를 이용한 특수 전기기기를 연구합니다. 이런 하드웨어와 더불어 전기기기 개발/설계에 필요한 소프트웨어인 특성 해석 기법과 최적 설계 기법에 관한 연구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
노종석
|
|
전력계통 연구실에서는 전력계통의 해석 및 제어에 관련된 제반 문제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
문운철
|
|
반도체소자 및 디스플레이 연구실에서는 차세대 반도체 소재/소자 및 디스플레이와 센서소자, 그 외의 다양한 전자 소자들을 연구하고 있으며 이들의 산업적 응용에 대해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
박성규
|
|
스마트에너지시티 연구실은 박세현 교수를 필두로 7년간 약 90억원을 지원하는 교육부 4단계BK21 사업 "지능형 에너지산업 교육연구단"의 단장이며, 두산, 한전 등 22개 국내외 기관들과 함께 AI, IoT, 빅데이터 기반 서비스 및 비즈니스 모델 기술과 연구를 선도하는 대한민국 최고의 'AI 스마트 시티 이노베이션 센터’를 설립 운영하고 있습니다.
|
박세현
|
|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연구실은 AI, Machine Learning / Deep Learning, Computer Vision, Big Data, Internet Security 등의 분야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
박호현
|
|
MIDAS 연구실에서는 반도체 혼성신호 (아날로그/디지털) 집적회로 및 시스템 설계와 관련된 연구와 교육을 통해서 고성능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설계 전문 인력을 양성합니다.
|
백광현 & 이우주
|
|
마이크로웨이브 회로 및 시스템 연구실 (MECAS LAB)은 아날로그, RF, mmwave 대역의 반도체 집적회로를 연구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해 5G/6G 관련 무선통신 기술 및 레이다 센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백동현
|
|
마이크로/나노기계시스템 연구실
|
마이크로/나노기계시스템 연구실에서는 반도체 공정에 기반을 둔 마이크로머시닝 공정을 이용하여, 마이크로/나노스케일의 크기를 가지면서도 기계적으로 움직임이 가능한 마이크로 센서 및 액추에이터 등의 “초미세전자기계시스템”을 설계, 제작하고 다양한 분야에 응용하고자 하는 MEMS/NEMS (Micro/Nan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분야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백창욱
|
반도체소자 및 시스템 연구실은 미래 사회를 주도할 다양한 차세대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자 및 시스템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
송상헌 & 권혁인
|
|
제어 및 로봇 SLAM 연구실에서는 자율주행자동차 및 드론의 항법 및 제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세부적으로는 드론 모델링 및 제어, 로봇 SLAM, 센서 융합, 관성 항법, GPS 및 위성항법, 영상-관성 SLAM, 제어이론 및 응용에 관한 내용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
심덕선
|
|
인공지능 및 메모리응용 연구실의 주된 연구분야는 인공신경망의 기본 이해에서부터 시작하여, 인공신경망의 하드웨어 구현 및 알고리즘 분석입니다. 또한, 이 분야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메모리 및 입출력 회로, 인메모리 컴퓨팅에 대한 연구를 동시에 진행하려고 합니다.
|
심용
|
|
인공지능 영상처리 연구실은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영상 및 비디오 신호처리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내용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
유성욱
|
|
제어 및 시스템 연구실은 비선형 적응 제어, 분산 군집 제어, 고장 검출 및 수용 제어, 신경회로망 기반 제어 이론에 관한 내용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
유성진
|
|
생성적 인공지능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빅데이터 처리를 위한 딥 러닝 및 기계학습 모델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간의 창의성을 흉내낼 수 있으며 진짜와 같은 가상의 표본을 생성하는 생성적 인공지능 모델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
이민혁
|
|
전파 및 신호처리 연구실에서는 차량용 레이더 센서를 위한 신호처리 기법들과 자율 주행을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이성욱
|
|
자율지능네트워크시스템 연구실은 생체모방 자율 네트워크(Bio-inspired Autonomous Network), 저 전력 네트워크 및 알고리즘(Low Energy Network and Algorithms), 인공지능기반 IoT 네트워크(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IoT Network)에 관한 내용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
이정륜
|
|
통신 및 인공지능 연구실에서는 무선통신 알고리즘, 오류정정부호, 인공지능 및 AI 기반 통신 시스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이정우
|
|
안테나 집적 및 융합 회로 연구실은 RF회로, 시스템 및 안테나에 관한 전반적인 연구를 수행하며, 특히 mmWave 및 (sub)Tera-Hz 와 관련된 반도체 안테나, 안테나 모듈 및 확장형 빔포밍 시스템에 관한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이한림
|
|
제어공학 연구실은 최신의 제어 기법 전반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 곳입니다. 특히, 비선형 제어 시스템 및 로봇, 자동차, 항공기 등의 제어 응용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이홍기
|
|
본 연구실은 마이크로파 및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응용되는 무선 통신, 무선 전력 전송, 무선 센서, 레이더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환경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신기술을 연구합니다. 특히 메타물질, 신소재 및 공정 기술 (잉크젯 프린팅 & 3D 프린팅 & 반도체 공정) 등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합니다.
|
임성준
|
|
모빌리티 시스템 및 제어 연구실은 센싱, 추정 그리고 제어 이론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지능형 모빌리티 시스템 관련 응용 분야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
전웅선
|
|
지능형무선시스템 연구실에서는 주로 i) 5G/6G등 차세대 통신, ii) 기계학습 및 인공지능 기술, iii) 무인이동체 등에 관한 연구/과제를 수행합니다.
|
정진곤
|
|
이동통신 연구실은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을 위한 전송방식 개발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
조용수
|
|
- Electric Power System and Smart Grid (EPSSG) 연구실은 전력공학, 최적화 및 머신러닝 방법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사이버-물리 전력 시스템 설계 및 분석을 목표로 합니다.
|
최대현
|
|
광자소자 및 시스템 연구실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한 초소형 집적 광학 센서 및 생체 계측을 위한 바이오 광학 센서를 개발하고 있으며, 광 신호를 검출하고 해석하기 위한 광전자 회로 시스템의 설계 및 제작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비대면 (untact) 시대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적인 기술로써 각광받고 있는 3D-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을 위한 광학계에 대한 연구 및 COVID-19과 같은 급성 감염병 진단이 용이한 극고감도 바이러스 센싱 기술 연구를 수행 중에 있습니다.
|
최영완 & 최우준
|
|
테라헤르츠 및 나노소자 연구실에서는 테라헤르츠파를 이용한 금속구조, 반도체, 절연체 등의 다양한 물질의 분광분석 및 테라헤르츠파의 광원제작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금속 나노구조를 이용한 테라헤르츠 소자 제작기술과 관련 응용 분야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
최근창
|
|
시스템소프트웨 연구실에서는 고성능 컴퓨터 하드웨어 및 임베디드 시스템에 적합한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설계 및 구현하고 있습니다. 주요 관심분야는 운영체제, GPU 가상화, 포그/엣지/클라우드 컴퓨팅, 딥러닝 프레임워크입니다.
|
홍철호
|